알아두면 득이 되는 얘기들

통합연금포털 이용해서 내 연금 조회 및 미수령 퇴직연금 찾아보자

몽인몽 2024. 4. 20. 16:52

통합연금포털 연금 조회

| 숨은 내 연금 찾기 | 미수령 퇴직연금 | 통합연금포털 | 내 연금 조회 |

얼마 전에 놀라운 기사를 하나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퇴직연금을 미수령한 근로자만 68324.. 규모는 1106억원에 달해..

.. 어떻게 이럴 수가 있을까요?

 

그런데 1106억원이라는 금액이 말해주듯 직장 폐업에도 자신의 퇴직연금이 적립되어 있다는 사실을 모르고 퇴직연금을 찾아가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퇴직 후 사용자(기업)의 지급지시 없이도 가입 금융회사에 퇴직연금을 신청할 수 있는데, 애초에 퇴직연금 가입사실을 알지 못한 상황에서 직장이 도산·폐업한 경우가 태반이라는 것입니다.

 

'퇴직연금제도'는 근로자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재직 기간 중 사용자가 근로자의 퇴직급여를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이 적립금을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운용하다가 55세 이후에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그런데 근로자가 퇴사 후 청구하지 못한 퇴직연금의 규모가 점차 증가하는 문제가 있어,

고용노동부는 올 상반기부터 '미청구 퇴직연금 찾아주기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하네요.

 

금융감독원 홈페이지 '통합연금포털'을 통해, 퇴직연금 제도별로 적립된 자신의 모든 퇴직연금 적립금을 손쉽게 조회, 확인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근로자가 직장의 폐업이나 도산 등 여러가지 이유로 퇴직연금을 받지 못했을 경우,

'통합연금포털' 서비스를 이용해 자신의 미청구 적립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금융기관으로 연락해 소정의 연금 수령 절차(신청서류 제출 등)를 거쳐 받지 못한 연금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몇 건의 기사들을 살펴보니, 저같은 경우엔 회사가 폐업해서 그만둔 경우가 없어 해당이 안될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혹시나 또 모르는 거잖아요?

그래서 7만명, 1106억원에 조금이라도 포함되어 있지 않나 하는 기대감?으로 통합연금포털을 들어가 봅니다.

 

네이버에 통합연금포털을 입력하시거나, 아래 링크로 들어가세요.

 

https://www.fss.or.kr/fss/lifeplan/lifeplanIndex/index.do?menuNo=201101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금융감독원 통합홈페이지.

www.fss.or.kr

 

메인화면 중간[내 연금조회, 재무설계] 아래 [내 연금 조회]로 들어갑니다.

 

통합연금포털 연금 조회

 

가입이 안된 분들은 회원가입부터 하셔야 합니다.

회원가입 후, 간편인증/휴대폰/공동인증서 등으로 본인인증 후 접속하실 수 있어요.

 

통합연금포털 연금 조회

 

본인인증하고 들어가면, [내 연금 조회 관련 안내사항]이 나옵니다.

1. 전월말 기준의 연금정보를 매월 10일까지 업데이트하여 제공한다.

2. 연금정보를 최초로 조회하는 경우, 결과 확인까지 3영업일 가량 소요된다.

 

저는 최초로 조회하는 것이니 신청하고 3일 정도 기다려야겠네요.

 

통합연금포털 연금 조회

 

저처럼 처음 신청하시는 분들은 3일 후에 다시 사이트에 들어가 보시면 내 연금을 모두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 내 모든 연금이 조회가 되네요.

 

통합연금포털 연금 조회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기대해 봤지만.. 역시 아무 것도 없군요..^^;

하지만 직장생활 한번이라도 해보신 분들이라면 한번씩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특히 직장의 도산, 폐업으로 그만두신 분들이라면 필수이겠죠?

 

지금까지 내 연금을 조회하고 미수령 퇴직연금을 확인할 수 있는 통합연금포털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저는 이만 총총..

반응형